[코코포리아] 플레이어용 간단 이용법
2021. 2. 23. 13:25
코코포리아를 써본 적 없는 지인과의 세션을 위해 간단한 이용법을 안내하는 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게시글은 작성자의 세션을 위해 코코포리아를 '처음' 사용하시는 '플레이어'에 초점이 두었습니다.
예시로 올라오는 룰은 CoC로 고정됩니다.
1. 기본 사이트 로그인
2. 인터페이스 설명
3. 캐릭터 작성법
4. 다이스봇 사용법
5. 기타(보낸 채팅 변경, 1:1 채팅, 마커 패널-핸드아웃 사용, 이미지 등록)
등을 아래에서 설명합니다.
최초 작성일 2021.02.23
- 2021.02.24 : 이미지 선택 창 설명 추가
1. 기본 사이트 로그인
가장 먼저 한국어 적용과 계정 연동을 설정하기 위해 해당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CCFOLIA - ココフォリア TRPGオンラインセッションツール
さあ、探索に出かけよう!
ccfolia.com
1-1. 한국어 적용법
상단 구석에 배치된 언어를 '한국어 (beta)'로 변경합니다.
(변경하지 않으면 코코포리아 방에 언어가 적용되지 않으며,
이후 플레이 로그를 추출할 때 채팅 내역이 개별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1-2. 계정 연동 로그인
메인 화면의 '지금 바로 시작'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뜹니다.
연동하실 계정을 골라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미 연동돼있는 계정이 존재한다면 아래의 '로그인' 버튼을 눌러서 로그인해 주세요.
1-2-1. 정보 변경
구석의 로그인 정보를 클릭하여 'Accoumt Setting'을 클릭하시면
프로필 사진과 유저명, 연동 상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2. 인터페이스 설명
① 접속 중인 방 이름(이용 중인 룰)
②내 캐릭터 목록, [GM] 스크린 패널 목록, [GM] 시나리오 텍스트 목록, [GM] 장면 목록, [GM] 컷인 목록
플레이어는 가장 첫 번째에 있는 내 캐릭터 목록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③ 로그인 중인 계정
클릭시 현재 접속중인 멤버(계정) 확인 및 방에서 나갈 수 있습니다.
④ 캐릭터 목록
캐릭터에 등록되어있는 스테이터스가 공개적으로 표기됩니다.
이 캐릭터 목록은 테이블 매트 '화면'에 추가되어있는 캐릭터만 등록됩니다.
⑤ BGM(주크 박스) : PL, GM 권한 동일
BGM 01, BGM 02 버튼을 눌러 BGM을 등록, 혹은 변경할 수 있으며
볼륨 조정이나 음소거가 가능합니다.
단, PL와 GM의 권한이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정지 버튼(■)'이나 BGM을 변경할 시 모든 방에 적용되기 때문에
합의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건드리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⑥ 테이블 매트의 확대/축소
마우스 휠을 통하여도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합니다.
⑦ 플레이 매트 내 전경, 배경 변경 및 패널 추가 등 : GM, PL 권한 동일
'이미지'와 같은 것들을 추가할 수 있게 됩니다.
GM뿐만 아니라 PL가 배경이나 전경, 패널 등을 추가할 수 있으며 모든 이의 방에 적용되기 때문에
합의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건드리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이것은 플레이 매트의 오른쪽 클릭으로도 변경/추가 가 가능해집니다.)
⑧ 채팅 내역 창
캐릭터의 채팅 내용, 주사위 내역, 스테이터스 변경에 따른 기록 등이 채팅으로 올라갑니다.
⑨ 채팅창 탭 분리 : 메인, 정보, 잡담
각각 채팅의 탭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메인 탭에서 주로 진행하며
정보란엔 기록하여야 할 내역이나 핸드아웃, 잡담란에선 사담이 진행됩니다.
⑩채팅 작성 창 : 캐릭터 선택, 이름, 채팅 팔레트, 캐릭터 색상 변경, 다이스봇에 대해
캐릭터의 저널을 변경하거나, 채팅에 올라오는 이름 색의 변경
또는, 캐릭터에게 등록된 채팅 팔레트와 주사위 봇의 안내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해당 채팅창에 보낼 내용을 적고 '전송'버튼 혹은 키보드의 Enter를 누르면 채팅이 보내집니다.
⑪ 채팅 타이핑
현재 채팅을 타이핑 중인 사람의 닉네임이 올라옵니다. (메인, 정보, 잡담 탭마다 다르게 표기)
2-1. 캐릭터 권한 가져가기
플레이 매트에 권한을 가져갈 캐릭터를 더블 클릭하여 캐릭터 편집 창을 띄운 뒤
구석의 화면에서 삭제 버튼을 '두 번' 누릅니다.
(화면에서 삭제 → 화면에 추가 → 화면에서 삭제로 돌아오게끔)
이후 채팅 작성 창에서 '캐릭터 선택(캐릭터 이미지)'을 클릭하시면
권한이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1-1. 개인 저널 만드는 법
인터페이스 ②의 내 캐릭터 목록을 클릭하고
+ 버튼을 눌러 캐릭터 저널을 직접 추가할 수 있습니다.
추가한 저널에 이미지와 이름을 등록하시면, 마찬가지로 채팅창에 저널이 추가됩니다.
3. 저널 캐릭터 작성법
캐릭터 권한을 가져갔다면, 이후엔 캐릭터 편집 창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작성 기록은 CoC이나, 룰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합니다.
3-1. 캐릭터 기본 정보
① 캐릭터 인장
캐릭터 얼굴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상세한 방법은 [5.기타]에서 이어집니다.
② 진행에 표기될 캐릭터 이름
③ 이니셔티브
등록 시 캐릭터 스테이터스 목록에 이미지와 같은 작성된 숫자가 생성됩니다.
타 캐릭터들의 이니셔티브까지 작성이 끝난다면, 이니셔티브의 숫자가 높은 순서대로 스테이터스 창의 순서가 조정됩니다.
④ 캐릭터 메모
캐릭터에 대한 기본 정보나 메모 사항을 작성합니다.
작성한 내용은 플레이 매트의 캐릭터 위에 마우스 오버를 하면 위 이미지와 같이 표기됩니다.
⑤ 토큰 사이즈
1칸을 기준으로 플레이 매트의 캐릭터 토큰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코코포리아에서의 1칸은 24xp*24xp로 예상됩니다.)
⑥ 위치 : xy
캐릭터 토큰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안 건드려도 됩니다)
⑦ 참고 URL
주로 시트 주소나 설정 주소를 붙여놓곤 합니다. (자유)
3-2. 스탠딩
+버튼을 눌러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스탠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기본 스탠딩도 같이 넣어두어야, 다른 스탠딩으로 변경하여도 다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등록하고자 하는 스탠딩 이미지와 라벨을 등록하여
(나는 한숨을 쉬었다) @한숨
와 같은 방법으로 '한숨'으로 등록된 스탠딩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돌아올 땐 @기본이라고 붙여주세요.
※ 문장의 마지막 끝에 붙여야합니다.
※ @를 붙여 등록한 라벨의 이름을 말해야 하며, 이때 @앞에 공백이 없으면 변경이 안 됩니다. (띄어쓰기 실수)
3-3. 스테이터스
인터페이스 ④캐릭터 목록에 표기되는 수치를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주로 세션 진행 중 변동되는 일이 잦고 눈으로 기록이 필요한 것들을 등록하곤 합니다.
3-3-1. 채팅 명령어를 통한 스테이터스 자동 수정법
또한 [ :스테이터스명+수치 ]나 [ :스테이터스명-수치 ]를 이용하여 값을 변동할 수 있습니다.
EX) :SAN+3 / :SAN-3 을 적용하여 채팅창에 기록된 이미지입니다.
3-4. 매개변수
거의 변동되지 않는 고정된 수를 입력하는 편이고, {라벨 명}을 이용하여 응용이 가능합니다.
EX) CoC에서 대미지를 입힐 때 1d3+{DB}로 계산하는 등
3-5. 채팅 팔레트
일종의 자동입력을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줄 바꿈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작성한 캐릭터 시트와 관련된 내용은 이쪽에 수기로 등록됩니다.
사용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채팅 작성 창에 등록된 채팅 팔레트를 클릭하시면
작성한 채팅 팔레트 목록이 구분되어 버튼 형식으로 뜹니다.
이때 '한 번 클릭' 으로는 채팅창에 입력되며 (전송을 눌러야 전송됨)
'더블 클릭' 으로는 채팅창에 입력 없이 바로 전송됩니다.
혹은 채팅창에 바로 찾으시는 채팅 팔레트의 내용을 작성하시면
이미지와 같이 등록된 채팅 팔레트가 나옵니다.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키보드 방향키+Enter를 이용한 선택이 가능합니다.
3-6. 기타
주로 마스터가 이용하는 항목이기 때문에 건드리지 않아도 됩니다만,
궁금하실 분들을 위하여 아래에 추가 작성합니다.
- 스테이터스를 비공개로 한다
: 인터페이스 ④캐릭터 목록에 표기는 되나, 스테이터스의 내용은 보이지 않습니다.
- 채팅 시 캐릭터를 표시하지 않는다
: 스탠딩을 등록하였어도, 채팅 시 화면에 캐릭터 스탠딩이 나오지 않습니다.
- 화면 캐릭터 목록에 표시하지 않는다
: 인터페이스 ④캐릭터 목록에서 제외됩니다.
4. 다이스봇 사용법
채팅 작성 창에 등록되어 있는 '다이스봇에 대해' 을 클릭하시면
현재 방에서 사용 중인 다이스봇의 명령어 커맨드가 나옵니다.
이때 다이스는 roll20과 같이 /r 라는 명령어 없이 채팅창에 바로 1d100을 쳐주시면 굴러가는 형태입니다.
이때 주사위 명령어가 채팅 내용의 가장 맨 앞에 있어야만 굴러갑니다.
5. 기타
이 아래엔 알아두면 편하거나 참조해두면 좋은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5-1. 채팅 변경법
자신이 보낸 채팅에 마우스 오버 시 생기는 연필 아이콘을 클릭하여
이미 보내놓은 메시지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자신이 보낸 채팅만 편집이 가능하며 (같은 저널이어도 보낸 사람이 다르다면 편집 X)
일정 시간이 지나면 편집이 불가능해집니다.
5-2. 개인 1:1 채팅 거는 법
1:1 채팅을 걸고자 하는 상대의 채팅에 마우스 오버하여 나오는 화살표를 클릭 시
1:1 채팅창 탭이 개별로 생성됩니다.
5-3. 화면 내 패널 이용 시
패널에 '메모'가 등록된 경우, 마우스 오버를 통하여 메모 내용을 읽을 수 있습니다.
또한 패널의 설정(마커, 스크린 패널 등)에 따라 설정 내용이 다르나,
우클릭-편집을 이용하여 PL가 직접 조작이 가능합니다.
마스터가 별도의 메모용 패널을 등록해주었을 경우, 기록할 내용을 메모해봅시다.
5-4. 이미지 선택 창
배경, 전경 / 패널 / 캐릭터 등 이미지를 선택시에 올라오는 창을 간단히 드립니다.
①용도 구분
전경 / 배경 / 캐릭터 / 스크린 / 스크린 뒷면 / 마커 / 컷인
7가지로 그룹처럼 구분이 되어, 용도 구분이 편합니다.
구분만 되어있을 뿐, 캐릭터에 마커에 있는 이미지를 넣는 등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②ALL / ROOM 구분
이 방에서 등록한 이미지와 지금까지 등록한 이미지 폴더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다른 곳에서 등록한 이미지 또한 해당 방에서 가져올 수 있습니다.
5-4-1. 이미지 등록법
구석의 ③+ 버튼을 눌러 이미지를 추가하거나
해당 창에 파일을 드래그하여 올리시면 등록이 됩니다.
5-4-2. 이미지 삭제법
구석의 ④휴지통(삭제) 버튼으로 '폴더 내 이미지 전체 삭제'가 가능합니다.
이미지의 개별 삭제를 원하신다면, 해당 이미지를 마우스로 꾹 누르시면 됩니다.
목록에서 삭제 시 폴더 내에서만 삭제가 되지만,
완전히 제거 시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곳이 있다면 해당 이미지가 깨질 수 있습니다.
또한 ROOM폴더에서 목록에서 삭제 시에도 ALL 폴더에도 적용되어 삭제됩니다.
해당 내용은 방의 주인이나 방의 설정,
추후 코코포리아의 업데이트로 인하여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편하게 질문해주세요.